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부동산학원론 기출문제(2020년 31회)(11번~20번)

by 히지가타 2024. 4. 17.

11. A도시와 B도시 사이에 C도시가 있다. 레일리의 소매인력법칙을 적용할 경우, C도시에서 A도시, B도시로 구매 활동에 유입되는 비율은?(단, C도시의 인구는 모두 A도시 또는 B도시에서 구매하고, 주어진 조건에 한함)

· A도시 인구수 : 45,000명
· B도시 인구수 : 20,000명
· C도시에서 A도시 간의 거리 : 36km
· C도시에서 B도시 간의 거리 : 18km

① A : 36%, B : 64%  ② A : 38%, B : 62%  ③ A : 40%, B : 60%  ④ A : 42%, B : 58%  ⑤ A : 44%, B : 56%

 

12. 디파스퀠리-위튼의 사분면 모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단, 주어진 조건에 한함)

① 1사분면에서는 부동산 공간시장의 단기공급곡선과 수요곡선에 의해 균형임대료가 결정된다.

② 2사분면에서는 부동산 임대료가 가격으로 환원되는 부동산자산시장의 조건을 나타낸다.

③ 3사분면에서 신규 부동산 건설량은 부동산 가격과 부동산개발비용의 함수로 결정된다.

④ 4사분면에서는 신규 부동산의 건설량과 재고의 멸실량이 변화하여야 부동산공간시장의 균형을 이룰 수 있다.

⑤ 이 모형은 부동산이 소비재이면서도 투자재라는 특성을 전제로 한다.

 

13. 다음과 같은 지대이론을 주장한 학자는?

· 지대는 자연적 기회를 이용하는 반대급부로 토지소유자에게 지불하는 대가를 보았다.
· 토지지대는 토지이용으로부터 얻는 순소득을 의미하며, 이 순소득을 잉여라고 하였다.
· 토지의 몰수가 아닌 지대의 몰수라고 주장하면서 토지가치에 대한 조세 이외의 모든 조세를 철폐하자고 하였다.

① 리카도  ② 알론소  ③ 헨리 조지  ④ 마르크스  ⑤튀넨

 

14. 부동산시장에 대한 정부의 직접개입방식으로 옳게 묶인 것은?

① 토지비축제, 개발부담금제도  ② 수용제도, 선매권제도  ③ 최고가격제도, 부동산조세  ④ 보조금제도, 용도지역지구제⑤ 담보대출규제, 부동산거래허가제

 

15. 우리나라에서 현재(2021.4.24.) 시행하지 않는 부동산 정책을 모두 고른 것은?(변형)

가. 종합 토지세  나. 공한지세  다. 토지거래허가제  라. 택지소유상한제  마. 분양가상한제  바. 개발이익환수제
사. 실거래가 신고제  아. 부동산실명제

① 가,나,라  ② 가,마,바  ③ 가,바,사  ④ 나,다,마  ⑤ 라,사,아

 

16. 다음에서 설명하는 개발방식은?

· 대지로서의 효용증진과 공공시설의 정비를 목적으로 하며, 택지개발사업에 주로 활용되는 방식이다.
· 사업 후 개발토지 중 사업에 소요된 비용과 공공용지를 제외한 토지를 당초의 토지소유자에게 되돌려 주는 방식이다.
· 개발사업 시 사업재원으로 확보해 놓은 토지를 체비지라고 한다.

① 환지방식  ② 신탁방식  ③ 수용방식  ④ 매수방식  ⑤ 합동방식

 

17. 화폐의 시간적 가치를 고려하지 않는 부동산 투자타당성방법은?

① 수익성지수법(PI)  ② 회계적수익률법(ARR)  ③ 현가회수기간법(PVP)  ④ 내부수익률법(IRR)  ⑤ 순현재가치법(NPV)

 

18. 토지이용계획과 용도지역지구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용도지역지구제는 토지이용규제의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② 용도지역지구제는 특정 토지를 용도지역이나 용도지구로 지정한 후 해당 토지의 이용을 지정목적에 맞게 제한하는 제도이다.

③ 토지이용계획은 토지이용규제의 근간을 이루지만 법적 구속력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④ 용도지역지구제는 토지이용계획의 내용을 실현하는 수단으로서, 도시 · 군관리계획의 내용을 구성한다.

⑤ 용도지역지구제에 따른 용도 지정 후, 관련법에 의해 사인의 토지이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19. 건물의 관리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자가관리방식은 일반적으로 소유자의 지시와 통제 권한이 강하다.

② 위탁관리방식은 부동산관리를 전문적으로 하는 대행업체에게 맡기는 방식으로 사횢거으로 신뢰도가 높고 성실한 대행업체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③ 혼합관리방식은 자가관리에서 위탁관리로 이행하는 과도기적 조치로 적합하다.

④ 자가관리방식에 있어 소유자가 전문적 관리지식이 부족한 경우 효율적 관리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⑤ 혼합관리방식에 있어 관리상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 책임소재에 대한 구분이 명확하다.

 

20. 개발업자 '갑'이 직면한 개발사업의 시장위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개발기간 중에도 상황이 변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② 개발기간이 장기화될수록 개발업자의 시장위험은 높아진다.

③ 선분양은 개발업자가 부담하는 시장위험을 줄일 수 있다.

④ 금융조달비용은 상승과 같은 시장의 불확실성은 개발업자에게 시장위험을 부담시킨다.

⑤ 후분양은 개발업자의 시장위험을 감소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