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우리나라의 부동산조세정책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부가가치세와 등록면허세는 국세에 속한다. ㄴ. 재산세와 상속세는 신고납부방식이다. ㄷ. 증여세와 재산세는 부동산의 보유단계에서 부과한다. ㄹ. 상속세와 증여세는 누진세율을 적용한다. |
① ㄹ ② ㄱ,ㄹ ③ ㄴ,ㄷ ④ ㄱ,ㄴ,ㄷ ⑤ ㄱ,ㄴ,ㄹ
32. 우리나라의 부동산등기제도와 권리분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소유권이전등기 청구권을 확보하기 위해 처분금지가처분의 등기가 가능하다.
② 현재 환매(특약)등기제와 예고등기제는 「부동산등기법」상 폐지되었다.
③ 등기의 순서는 같은 구에서 한 등기 상호간에는 순위번호에 따른다.
④ 근저당권과 담보가등기는 부동산경매에서 말소기준권리가 된다.
⑤ 부동산임차권은 부동산물권이 아니지만 등기할 수 있다.
33. 등기사항전부증명서의 갑구에서 확인할 수 없는 내용은?
① 가압류 ② 가등기 ③ 소유권 ④ 근저당권 ⑤ 강제경매개시결정
34. 토지에 관한 강제경매절차에서 토지의 부합물로서 낙찰자가 소유권을 취득할 수 없는 경우를 모두 고른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
ㄱ. 토지소유자가 마당에 설치한 연못 ㄴ. 타인이 토지소유자의 동의 없이 임의로 심은 조경수 ㄷ. 토지에 지상권을 가진 자가 경작을 위해 심은 감나무 ㄹ. 기둥, 지붕 및 주벽의 공사가 완료되어 건물로서의 외관을 갖추었으나 사용승인 받지 못한 건물 |
① ㄱ,ㄴ ② ㄴ,ㄷ ③ ㄱ,ㄴ,ㄷ ④ ㄱ,ㄷ,ㄹ ⑤ ㄱ,ㄴ,ㄷ,ㄹ
35. 감정평가에 관한 규칙과 감정평가 실무기준 상 임대료 감정평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임대사례비교법으로 감정평가 할 때 임대사례에 특수한 사정이나 개별적 등기가 반영되어 수집된 임대사례의 임대료가 적절하지 못한 경우에는 사정보정을 통해 그러한 사정이 없었을 경우의 적절한 임대료 수준으로 정상화하여야 한다.
② 시점수정은 대상물건의 임대료 변동률로 함을 원칙으로 한다.
③ 감정평가법인 등은 임대료를 감정평가할 때에 임대사례비교법을 적용해야 한다.
④ 적산법은 원가방식에 기초하여 대상물건의 임대료를 산정하는 감정평가방법이다.
⑤ 수익분석법이란 일반기업 경영에 의하여 산출된 총수익을 분석하여 대상물건이 일정한 기간에 산출할 것으로 기대되는 순수익에 대상물건을 계속하여 임대하는 데에 필요한 경비를 더하여 대상물건의 임대료를 산정하는 감정평가방법을 말한다.
36. 감정평가방법 중 거래사례비교법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거래사례비교법은 실제 거래되는 가격을 준거하므로 현실성이 있으며 설득력이 풍부하다는 장점이 있다.
② 거래사례비교법과 관련된 가격원칙은 대체의 원칙이고, 구해진 가격은 비준가액이라 한다.
③ 거래사례비교법은 대상부동산과 동질·동일성이 있어서 비교 가능한 사례를 채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④ 거래사례는 위치에 있어서 동일성 내지 유사성이 있어야 하며, 인근지역에 소재하는 경우에는 지역요인비교를 하여야 한다.
⑤ 거래사례에 사정보정요인이 있는 경우 우선 사정보정을 하고, 거래시점과 기준시점간의 시간적 불일치를 정상화하는 작업인 시점수정을 하여야 한다.
37. 감정평가방식 중 원가방식에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원가방식은 대체의 원칙, 수요와 공급의 원칙, 균형의 원칙, 외부의 원칙, 예측의 원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② 재조달원가란 대상물건을 기준시점에 재생산 또는 재취득하는데 필요한 적정원가의 총액으로서 원칙적으로 그 대상물건 값의 상한선을 나타낸다.
③ 대체원가란 건축자재, 설비공법 등에 있어 신축시점의 표준적인 것을 사용한 적정원가로서 이미 기능적 감가는 반영되어 있다.
④ 재조달원가를 구하는 방법은 직접적으로 총가격적산법(총량조사법), 변동율적용법(비용지수법) 등이 있고, 간접적으로 부분별단가적용법, 단위비교법 등이 있다.
⑤ 감가수정에 있어서 감가요인은 물리적요인, 기능적요인, 경제적요인이 있으며, 감가상각에 있어서 감가요인을 물리적요인, 경제적요인이 있다.
38. 다음 조건을 가진 부동산을 통해 산출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주어진 조건에 한함)
ㅇ 가능총소득(PGI) : 연 150,000,000원 ㅇ 공실손실상당액·대손충당금 : 가능총소득의 10% ㅇ 운영경비(OE) : 유효총소득의 30% ㅇ 대출원리금 상환액 : 연 40,000,000원 ㅇ 가격구성비 : 토지 40%, 건물 60% ㅇ 토지환원이율 : 연 3%, 건물환원이율 : 연 5% |
① 운영경비는 40,500,000원이다.
② 종합환원이율은 연 4.2%이다.
③ 순영업소득(NOI)은 94,500,000원이다.
④ 유효총소득(EGI)은 135,000,000원이다.
⑤ 세전현금흐름(BTCF)은 53,500,000원이다.
39. 다음 자료를 활용하여 공시지가기준법으로 평가한 대상토지의 시산가액( ㎡ 당 단가)은?
ㅇ 대상토지 현황 : A시 B구 C동 101번지, 일반상업지역, 상업나지 ㅇ 기준시점 : 2023.04.08. ㅇ 비교표준지 : A시 B구 C동 103번지, 일반상업지역, 상업나지 2023.01.01.기준 표준지공시지가 10,000,000원/ ㎡ ㅇ 지가변동률 : 1) 2023.01.01. ~ 2023.03.31. : -5.00% 2) 2023.04.01. ~ 2023.04.08. : -2.00% ㅇ 지역요인 : 비교표준지는 대상토지의 인근지역에 위치함 ㅇ 개별요인 : 대상토지는 비교표준지대비 획지조건에서 4% 열세하고, 환경조건에서 5% 우세하며, 다른 조건은 동일함 ㅇ 그 밖의 요인 보정 : 대상토지 인근지역의 가치형성요인이 유사한 정상적인 거래사례 및 평가사례 등을 고려하여 그 밖의 요인으로 20% 증액 보정함 ㅇ 상승식으로 계산할 것 ㅇ 산정된 시간가액의 천원미만은 버릴 것 |
① 11,140,000원 ② 11,168,000원 ③ 11,190,000원 ④ 11,261,000원 ⑤ 11,970,000원
40. 감정평가에 관한 규칙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시장가치란 감정평가의 대상이 되는 토지 등이 통상적인 시장에서 충분한 기간 동안 거래를 위하여 공개된 후 그 대상물건의 내용에 정통한 당사자 사이에 신중하고 자발적인 거래가 있을 경우 성립될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인정되는 대상물건의 가액을 말한다.
② 일체로 이용되고 있는 대상물건의 일부분에 대하여 감정평가하여야 할 특수한 목적이나 합리적인 이유가 있는 경우에는 그 부분에 대하여 감정평가할 수 있다.
③ 감정평가는 대상물건마다 개별로 하여야 하되, 가치를 달리하는 부분은 이를 구분하여 감정평가할 수 있다.
④ 감정평가법인 등은 과수원을 감정평가할 때에 공시지가기준법을 적용해야 한다.
⑤ 감정평가는 기준시점에서의 대상물건의 이용상황(불법적이거나 일시적인 이용은 제외한다) 및 공법상 제한을 받는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