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철학의 정의와 필요성
우리가 삶을 살아감에 있어서, 어떤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그 문제의 해결의 기본 원리이자 가치판단의 토대로 사용하기 위해서 우리는 철학이라는 학문을 찾게 됩니다. 이러한 철학이 어떤 학문이며, 어떤 메세지를 줄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1) 정의
철학(哲:밝을 철, 學:배울 학)은 세계와 인간에 대한 보편적이고 본질적인 질문과 그 대상에 대한 탐구가 주되는 학문으로, 그러한 주제로 존재, 지식, 가치, 정신, 언어 등이 포함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철학적 주제는 인류의 모든 문화권에서 유서 깊게 다뤄져 왔으며 각자의 문화권마다 고유한 답을 내놓았다. 철학적 주제의 뒤에는 인류가 이해하지 못하는 무수한 현상과 사물의 기능에 대한 의혹, 궁금증, 회의, 호기심이 자리하고 있으며, 이를 향해 "왜?"라고 질문하는 것이 철학의 근본이다. 그렇기에 물리학, 생물학 등의 과학적 주제를 질문하고 답변하는 것 또한 전통적으로는 철학자의 임무였으며, 고대 그리스의 전통에 기반을 두는 서양에서는 자연을 탐구하는 학문을 자연철학 혹은 자연학이라 칭해 왔었다. 서양에서는 19세기에 들어 자연철학이 자연과학의 영역으로 넘어갔으며, 과학적 방법이 철학의 오랜 주제들에도 접목되며 심리학, 사회학, 언어학 등의 사회과학으로 분과되었다. 즉, 철학은 오늘날 존재하는 수많은 학문의 역사적 그리고 본질적 원류이며 근본이다.
오늘날의 철학은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으로 규명하지 못하거나 재정립을 요하는 주제를 정의, 탐구, 분석하는 것에 집중한다. 근본적 존재를 탐구하는 형이상학("존재란 무엇인가?"), 앎과 지식을 탐구하는 인식론("앎이란 무엇인가?"), 추론 규칙을 탐구하는 논리학("무엇이 올바른 추론인가?"), 도덕적 가치를 탐구하는 윤리학("인간은 마땅히 어떻게 행위해야 하는가?"), 미(美)를 탐구하는 미학("무엇이 아름다운가?") 등이 대표적인 오늘날의 철학의 하위 범주이다. 또한 과학철학, 수리철학, 정치철학, 사회철학, 심리철학, 언어철학 등의 하위 분야 또한 존재한다.
2) 철학의 필요성
- 의미 있는 삶을 찾기 위해 : 철학은 삶의 목적과 의미에 대한 고찰을 통해 우리에게 의미 있는 방향을 제시합니다.
- 자아 깨달음과 자기 인식 : 철학은 우리의 자아를 이해하고 자기 인식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도덕적 지침을 제공 : 철학은 도덕적인 문제에 대한 고민을 통해 우리에게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에 대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 사회 및 정치적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 : 철학은 사회와 정치의 복잡한 문제에 대한 분석과 해결책을 제시함으로써 우리에게 이해와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 지적 호기심을 자극 : 철학은 우리의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고 새로운 아이디어에 대한 탐구를 장려합니다.
-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대답 : 철학은 인간의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대답을 찾는 데 도움을 줍니다.
- 의사 소통과 논쟁 능력 향상 : 철학은 우리의 의견을 명확하게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이해하는 능력을 향상시킵니다.
- 문제 해결과 결정력 강화 : 철학은 복잡한 문제에 대한 분석과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을 줌으로써 우리의 사고력을 향상시킵니다.
- 자유로운 사고와 독립적인 판단 : 철학은 우리가 자유롭고 독립적으로 사고하고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강화합니다.
- 문화적인 이해와 연결 : 철학은 우리가 다른 문화와 사상을 이해하고 연결할 수 있는 다리 역할을 합니다.
2. 글을 마치며
철학이 삶을 살아가는 데 있어서 현대인들에게 길잡이가 돼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여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 세상에서 변하지 않는 것이 단 하나 있다면 '우리는 언젠가 죽는다'는 사실이다.
- 그렇다면 이러한 세상에서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 인생의 정답이 아닌 질문을 찾아가며 살아보는 건 어떨까?
본 블로그의 작자는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질문에 '질문하는 삶을 살아보자'라는 답변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이 대목이 저의 갈증을 해소해 주었기에 이러한 인사이트를 공유해 보고자 합니다.
'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흔에 읽는 니체」에서 얻을 수 있었던 인사이트 (4) | 2024.03.16 |
---|